분류 전체보기 235

🚦 품사의 종류 : 시간 전치사

★ 품사의 종류 : 시간 전치사 (word class : Prepositions of Time) 품사(word classes)는 비슷한 특성을 갖는 단어끼리 분류한 것으로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 접속사, 전치사, 감탄사, 대명사 등이 있다. 이전 포스트에서 전치사(preposition)를 다루었지만 전치사는 워낙 종류와 용법이 다양해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그중에서도 시간 관련 전치사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 전치사 (前置詞, preposition) ◽ 전치사란 명사 앞에 위치하는 말이다. ◽ 접속사와 함께 연결어에 해당한다. 즉 전치사를 쓰려면 반드시 명사가 뒤따라야 한다. ◽ 전치사가 붙은 명사(전치사+명사)는 명사의 기능을 상실하고 수식어 역할을 한다. ◽ 다양한 뜻과 용법이 있다...

Grammar 101 2022.06.04

🚦 품사의 종류 : 전치사 (preposition)

★ 품사의 종류 : 전치사 (word class : Preposition) 품사(word classes)는 비슷한 특성을 갖는 단어끼리 분류한 것으로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 접속사, 전치사, 감탄사, 대명사 등이 있다. 그중 이번 포스트에서는 전치사(preposition)를 알아보자. ▶ 전치사 (前置詞, preposition) ◽ 전치사란 명사 앞에 위치하는 말이다. ◽ 접속사와 함께 연결어에 해당한다. 즉 전치사를 쓰려면 반드시 명사가 뒤따라야 한다. ◽ 전치사가 붙은 명사(전치사+명사)는 명사의 기능을 상실하고 수식어 역할을 한다. ◽ 다양한 뜻과 용법이 있다. 1️⃣ at, in, on ' ~ 에' ★ 시간(time)과 장소(place)에 어울리는 대표적인 전치사로 다음과 같은 용법에 따라..

Grammar 101 2022.05.29

🚦 품사의 종류 : 조동사 will, can, may, must, should

★ 품사의 종류 : 조동사 will, can, may, must, should (word class : auxiliary verb) 품사(word classes)는 비슷한 특성을 갖는 단어끼리 분류한 것으로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 접속사, 전치사, 감탄사, 대명사 등이 있다. 이전 포스트에서는 조동사로 쓰이는 do, be, have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번 포스트에서는 조동사 will, can, may, must, should에 대해 알아 보자. . ▶ 조동사 (助動詞 ; auxiliary verb) ◽ 동사를 도와 미래, 예정, 능력, 가능, 허가, 필요, 의무, 당연, 추측 등의 의미를 더하는 역할을 한다. ◽ 본동사만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시제 (tense), 법 (mood), 태 (voice..

Grammar 101 2022.05.26

🚦 품사의 종류 : 조동사 (auxiliary verb) - do, be, have

★ 품사의 종류 : 조동사 do, be, have (word class : auxiliary verb) 품사(word classes)는 비슷한 특성을 갖는 단어끼리 분류한 것으로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 접속사, 전치사, 감탄사, 대명사 등이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동사 앞에서 본동사를 도와주는 조동사 (auxiliary verb)를 다루고자 한다. ▶ 조동사 (助動詞, auxiliary verb) ◽ 조동사란 동사 (be동사와 일반동사)만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시제나 태(능동태, 수동태)를 표현한다. ◽ 미래, 예정, 능력, 가능성, 허가, 의무, 당연 등의 의미를 더한다. (will, can, may, must, should ...) ◽ 일반동사의 부정문 또는 의문문에 활용하는 do, does..

Grammar 101 2022.05.15

🚦 품사의 종류 : 동사 (verb)

★ 품사의 종류 : 동사 (word class : verb) 품사(word classes)는 비슷한 특성을 갖는 단어끼리 분류한 것으로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 접속사, 전치사, 감탄사, 대명사 등이 있다. 그중 이번 포스트에서는 동사 (verb)를 다루고자 한다. ▶ 동사 (動詞, verb) ◽ 동사란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 크게 be 동사 ('~이다, 있다')와 일반동사 ( '~하다')로 분류할 수 있다. ◽ 동사는 주어의 수, 인칭, 시제에 따라 어형이 변한다. ◽ 부정문을 만들 때 not의 위치에 유의해야 한다. *be동사 뒤, 일반동사 앞에 don't/doesn't, didn't ◽ 주어와 동사의 행위 관계에 따라 능동태와 수동태로 활용할 수 있다. ◽ 다양한 시제 표현과이 가능하다..

Grammar 101 2022.05.14

고등) 공통 영어 금성(최) 4과 본문 : 좌지문/우해석/주요 문법 정리

★ 공통 영어 금성(최) 4과 본문 좌지문/우해석 주요 문법 정리 Lesson 4 Let’s Make Every Day Earth Day ☆ 문법 포인트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 , (코마) + 관계대명사 현재진행 수동태 : are being + p.p. A News Report In The Near Future What do you think will happen to us if we keep polluting the environment? Imagine what our planet will be like based on the following news report. Weather Super Storms Claim More than One Million Lives Since the latest..

🚦 품사의 종류 : 대명사 (pronoun)

★ 품사의 종류 : 대명사 (word class : pronoun) 품사(word classes)는 비슷한 특성을 갖는 단어끼리 분류한 것으로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 접속사, 전치사, 감탄사, 대명사 등이 있다. 그중 이번 포스트에서는 대명사 (pronoun)를 다루고자 한다. 우리말에서는 한 번 나온 명사를 반복해서 사용해도 전혀 어색함이 없지만 영어는 그렇지가 않다. 다음 두 문장을 비교해 보자. 어릴 적에 아버지는 나를 일터에 데리고 가셨고 나는 그런 아버지와 함께 있는 것을 좋아했다. My dad used to take me to work as a child, and I enjoyed being with him. (my dad ×) 영어에서는 한 번 등장한 명사를 반복해서 쓰지 않고 대신 ..

Grammar 101 2022.05.06

🚦 품사의 종류 : 부사 (adverb)

★ 품사의 종류 : 부사 (word class : adverb) 품사(word classes)는 비슷한 특성을 갖는 단어끼리 분류한 것으로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 접속사, 전치사, 감탄사, 대명사 등이 있다. 지난 포스트에서 다루었던 명사, 형용사에 이어 이번 포스트에서는 부사를 다루고자 한다. ▶ 부사 (adverb) 부사란(adverb) : 장소, 시간, 방법, 이유, 빈도, 정도 등을 나타내는 말로 주로 '~이, 히, 리, 게'로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의문사 where, when, how, why로 물었을 때 답변할 수 있는 내용이 부사가 된다고 보면 된다. 이런 것도 부사였어? 라고 할 만큼 부사의 종류는 다양하다. 양태 부사 (adverbs of manner) : easily, happi..

Grammar 101 2022.05.04

🚦 품사의 종류 : 형용사 (adjective)

★ 품사의 종류 : 형용사 (word class : adjective) 품사(word classes)는 비슷한 특성을 갖는 단어끼리 분류한 것으로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 접속사, 전치사, 감탄사, 대명사 등이 있다. 지난 포스트에서는 명사를 다루었고 이번 포스트에서는 형용사를 다루고자 한다. ▶ 형용사 (adjective) 형용사란(adjective) : 사람 또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 (모양, 크기, 색깔, ...), 수량, 국적 등을 나타내는 말로 주로 '~은/ 는, ~의'로 표현한다. 이런 것도 형용사였어? 라고 할 만큼 형용사의 종류는 다양하다. 성질 : good, bad, hot, cold, hard, soft ... 상태 : happy, sad, quiet, noisy ... 크기 : ..

Grammar 101 2022.04.30